문화 정보

리어왕 줄거리 셰익스피어 4대 비극

Mooner 2023. 4. 15. 16:53

셰익스피어의 4대 비극 중 한 작품인 리어왕에 관해 알아보도록 하자. 

참고로셰익스피어의 4대 비극은 햄릿, 멕베스, 오셀로 그리고 리어왕 이 네 작품으로 이루어져 있다.

리어왕의 내용을 간략하게 알아보고 작품에 나타나는 주제의식과 눈여결 볼 관점에 관해 알아보도록 하겠다.

 

 

줄거리

 

"리어왕"은 1606년에 초연된 윌리엄 셰익스피어의 비극적 희곡이다. 이 연극은 세 딸인 고네릴, 리건, 코델리아에게 왕국을 나누기로 결정한 나이 든 군주 리어왕의 이야기를 담고 있다. 그는 상속받을 땅의 양을 결정하기 위해 각자 자신을 얼마나 사랑하는지 설명하도록 요구한다.

 

맏딸인 고네릴과 리건은 더 많은 땅을 얻기 위해 아버지에 대한 사랑을 거짓으로 고백한다. 막내이자 가장 사랑받는 딸 코델리아는 아버지에게 아첨하기를 거부하고 이후 왕국에서 의절되고 추방된다. 왕국에서 그녀의 몫은 빠르게 권력을 남용하고 아버지를 잔인하게 대하기 시작하는 자매들 사이에서 분열이 일어난다.

 

리어왕의 친구인 글리스터는 그의 두 아들이 연루된 음모에 휘말리게 된다. 사생아인 에드먼드는 글로스터가 에드가를 부인하고 에드먼드에게 호의를 보이도록 이끄는 그의 적자 에드가가 자신에 대한 음모를 꾸미고 있다고 설득한다.

 

이야기가 진행됨에 따라 리어왕은 광기에 빠지고 그가 한때 가졌던 모든 것을 잃는다. 그는 자신의 가족에게 배신당했다는 사실을 깨닫고 고심하며 시골을 방황 할 때 바보와 변장한 에드가와 동행한다.

 

한편 고네릴과 리건은 아버지에 대한 학대를 계속하여 그의 기사를 박탈하고 바보를 동반자로 두는 것을 거부한다. 글리스터는 리어왕을 도우려 하지만 고네릴과 리건의 군대에 붙잡혀 리건의 남편인 콘월에게 눈이 뽑힌다.

 

리어왕은 결국 아버지를 구하기 위해 군대를 이끌고 돌아온 코델리아와 재회한다. 그러나 재회의 시간은 고네릴과 리건의 군대가 그들을 붙잡아 사형을 선고하기 때문에 짧다. 이제 권력을 잡은 에드먼드는 코델리아의 처형을 명령하지만 결국 에드가와의 결투에서 사망한다.

 

연극은 리어왕이 죽은 코델리아를 팔에 안고 "하울, 하울, 하울, 하울! 오, 당신은 돌의 사람들이다! "라는 대사를 내뱉으며 비극적으로 끝난다.

 

 

 

관점

 

가족관계

"리어왕"은 가족 구성원, 특히 아버지와 딸 사이의 복잡하고 종종 힘든 관계를 조사한다. 이 연극은 가족 역학이 권력 투쟁과 개인적인 야망에 의해 어떻게 형성될 수 있는지를 강조한다.

 

광기

광기의 주제는 "리어 왕"의 중심이며, 주인공은 연극이 진행되는 동안 광기에 빠진다. 연극은 온전함과 광기 사이의 미세한 경계와 얼마나 쉽게 교차할 수 있는지 탐구한다.

 

권력과 권위

연극은 권력과 권위라는 주제를 광범위하게 다루며 권력의 타락한 영향력과 권력이 어떻게 개인이 성급한 결정을 내리도록 이끄는지 탐구한다.

 

배신

"리어 왕"은 캐릭터가 자신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서로를 조종하고 속이는 배신에 관한 연극이다. 이 연극은 배신이 가족과 친한 친구를 포함하여 예기치 않은 출처에서 어떻게 올 수 있는지 보여준다.

 

정의

정의의 개념은 연극 전반에 걸쳐 반복되는 주제이다. 연극은 공정하고 정의로운 것이 무엇인지, 권력과 정치가 자주 등장하는 세상에서 어떻게 정의를 이룰 수 있는지 질문한다.

 

노화와 죽음

"리어 왕"은 노화와 죽음, 그리고 이러한 요소가 우리의 삶과 관계에 어떤 영향을 미칠 수 있는지에 대한 연극이다. 죽음에 대한 두려움과 불멸에 대한 열망을 탐구한다.

 

운명

이 연극은 또한 우리의 삶에서 운명의 역할과 우리의 운명이 미리 결정되어 있는지 또는 우리가 자신의 삶을 통제할 수 있는지에 대해 질문한다.

 

 

 

평가

 

"리어왕"은 윌리엄 셰익스피어의 시대를 초월한 걸작으로 복잡한 인간 관계와 보편적인 주제에 대한 탐구로 계속해서 관객을 사로잡고 있습니다. 극은 오만함과 판단력 부족으로 온전한 정신을 포함한 모든 것을 잃은 왕의 비극적인 이야기다.

 

리어왕은 오늘날에도 계속해서 관련이 있는 심오한 문학 작품이다. 가족 관계, 권력, 노화, 의사소통에 대한 탐구는 이 작품을 강력하고 많은 생각을 하게 한다. 인간의 본성을 다룬 희곡으로서 앞으로도 여러 세대에 걸쳐 관객의 공감을 불러일으킬 명작이다.